사진 소쿠리/세상 구경한 사진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 - 안동 서후면 봉정사 극락전

황포돛배 2011. 5. 22. 09:47

지난 주 안동 학가산온천에 출장이 있어 갔다오는 길에 봉정사에 들렀습니다.

그곳에 갔다온다고 작정을 했던 것은 아닌데, 오는 길에 시간이 남았고,

또 지나쳐오는 곳에서 멀지않은 곳에 있다고해서 찾아가 보았습니다.

 

 

봉정사 소개는 홈페이지의 소개글을 빌려 와서 일부분을 고쳐서 싣습니다.

 

천등산 봉정사는 우리가 살고 있는 곳에서 멀리 떨어져 있지도 험하지도 않아

잠시 바쁜 도심을 떠나 한적한 여유를 가질 수 있어서 좋은 곳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인 극락전이 있는 이곳은

우리들 모두에게 자랑스러운 곳이기도 하고

누구나 봉정사에 가면 심신의 피로를 다 잊어버리고 맑은 공기를 마음껏 마시며 천천히 둘러볼 수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또한 온갖 공사로 점차 번잡해 가는 다른 사찰들과는 달리

조용한 한국산중 불교의 전통을 이어오고 있어 불교를 믿든 믿지 않든 한 번쯤 들러볼만한 곳입니다.

 

봉정사는 신라 문무왕 12년(672)에 의상대사의 제자인 능인스님께서 창건한 사찰입니다.

천등산은 원래 대망산이라 불렀는데

능인대사가 젊었을 때 대망산 바위굴에서 도를 닦고 있던 중 스님의 도력에 감복한 천상의 선녀가

하늘에서 등불을 내려 굴 안을 환하게 밝혀 주었으므로 '천등산'이라 이름하고 그 굴을 '천등굴'이라 하였답니다.

더욱 수행을 하던 능인스님이 도력으로 종이 봉황을 접어서 날리니 이곳에 와서 머물러 산문을 개산하고,

봉황이 머물렀다하여 봉황새 봉(鳳)자에 머무를 정(停)자를 따서 봉정사라 명명하였다고 합니다.

 

그 뒤 6차례에 걸쳐 고쳐 지었으며,

국보 제15호인 극락전, 국보 제311호인 대웅전,

보물 제1614호 후불벽화, 보물 제1620호 목조관세음보살좌상, 보물 제 448호인 화엄강당, 보물 제449호인 고금당,

덕휘루, 무량해회, 삼성각 및 삼층석탑과 부속암자로 영산암과 지조암 중암이 있습니다.

 

특히, 고려태조와 공민왕께서 다녀갔다는 아름다운 사찰입니다.

 

                                      

 

목조건축물인 소중한 국보가 두 점이나 있고,

깊은 산속에 위치한 사찰의 성격상 화재의 위험이 높으므로,

소방시설이 절 곳곳에 널려 있었습니다.

 

            찾아가는 길은 안동시외버스터미널에서 예천방면으로1킬로쯤 가다가, 서후면으로 우회전하여 들어가면 됩니다.

예천쪽에서 올 때는 안동과학대학을 지나서 서후면 방면으로 좌회전을 하면 됩니다.

곳곳에 길안내 표지가 있어 찾아가기가 수월합니다.

 

또 가는 도중에 의성김씨 문중의 종택을 비롯한 반가의 고택들과 안동 권씨 시조인 권태사의 유적도 있으니

함께 둘러보면 더욱 좋습니다.

 

 

봉정사 사진 몇 장 올립니다.